![늦었지만 써보는 2023 인프콘 후기 정리 - 3. 시니어 개발자 너머의 성장](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zN9kf%2FbtsGLE3OK8x%2FK1OeHKWYmEvjty8ckA9JWk%2Fimg.png)
인프콘 세션 마지막 후기입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영상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니어 개발자 너머의 성장: 대규모 조직을 위한 스태프 엔지니어(Staff Engineer) - 남상수님
우리는 어떻게 성장할까요?
그것에 대한 정리가 먼저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성장하는지에 대한 자료가 있었습니다.
70%의 업무경험, 20%의 관계, 10%의 교육으로 주로 성장한다고 합니다.
업무 경험을 통해서 가장 많이 성장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개발자는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까요?
1. 처음에는 혼자힘으로 기능을 개발하거나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2. 비슷한 기능/ 프로젝트를 여러번 하면서 더 견고해집니다.
다만, 그 이후에는 성장 곡선이 조금 더뎌진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개인으로써의 성장 방식
주니어 개발자로써의 성장
1. 정해진 범위의 문제 해결
2. 기여하고 지원할 수 있는 능력 향상
3.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4. 필요시 도움 요청을 통해서 기본적인 발전을 이어 나가고 그 이후
5. 독립적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해지고
6. 안정적이고 고품질 코드 구현
7. 다른 사람들의 학습을 돕고
8. 고 수준의 아키텍처를 이해하는등 개인의 성장 영역을 넓혀 갈 수 있습니다.
그 이상의 성장을 위해서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시니어 개발자로의 성장이 그 이상의 성장의 일반적인 목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시니어 개발자로써의 성장
그러면 먼저 회사가 원하는 방향의 시니어 개발자는 무엇인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시니어 개발자가 이상적인 회사의 시니어 개발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로 개인적인 성공보다는 팀 전체로써의 개선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면 시니어 개발자 이후의 성장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시니어 개발자 이후의 성장
몇 가지 업무 역할이 있습니다.
1. 새로운 업무 분야
2. 새로운 프로젝트
3. 관리자
스태프 엔지니어 - 팀을 넘어 조직의 성공에 가치를 제공하는 것
스태프 엔지니어의 원형으로는 4가지가 있습니다.
각각의 장점에 따라서 4가지 중 한가지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면 좋을것입니다.
기술 문제를 잘 해결해주는 역할이 스태프 엔지니어의 역할인데
기술 문제 해결의 단계는 아래와 같은 4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스태프 엔지니어 뿐만 아니라 다른 개발자들도 기술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스태프 엔지니어는 조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 문제 해결을 한다는점이 차이점입니다.
조직에 도움이 되는 결정을 하고 논의를 하는것이 스태프 엔지니어의 1역할이고, 그 팀에서 실제 개발을 진행하고 리딩하는것은 시니어 엔지니어라고 보면 된다고합니다.
그리고 그런 결정 사항들을 문서화를 해 두는것이 중요한데 아래와 같은 RFC 및 ADR 포맷을 한곳에 모으는게 중요 하다고 합니다.
세션 후기
개인적으로는 이 날 참가한 세션 중에서 가장 내용이 인상적이였고 많이 배웠던것 같습니다.
저는 아직 주니어 엔지니어일 뿐이지만 시니어 엔지니어까지의 성장 과정을 미리 볼 수 있었다는점이 너무 좋았습니다.
이 내용들 중에서 새로 배웠고 실제 회사에서 적용하려고 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회사에서 개발을 하다보면 매일 매일 수많은 설계와 결정들이 이루어 지는데요.
이에 대해서 명확한 포맷이나 문서를 정해놓지 않다보니, 결정 사항에 대해서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확인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기억에 의존하거나 다시 논의하게 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논의 했었던것도 재논의 하는등 많은 문제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제가 업무를 할때도 위 사항들은 동일했습니다.
그래서 이 세션에서 스포티파이에서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 RFC나 ADR이 회사 내에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조사를 많이 해보고 이를 도입을 준비중에 있고 꽤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관련 포스트를 추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개발 트렌드 포스팅 > 2023 인프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늦었지만 써보는 2023 인프콘 후기 정리 - 2. 조직구조와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도입 (2) | 2024.04.19 |
---|---|
늦었지만 써보는 2023 인프콘 후기 정리 - 1. API First Design (0) | 2024.04.18 |
개발 및 IT 관련 포스팅을 작성 하는 블로그입니다.
IT 기술 및 개인 개발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블로그입니다. 많은 분들과 소통하며 의견을 나누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