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픈소스 라이센스 한눈에 보기: GPL, MIT, Apache 등 주요 라이스 비교
CS 지식/CS기본2024. 8. 18. 12:45오픈소스 라이센스 한눈에 보기: GPL, MIT, Apache 등 주요 라이스 비교

주요 오픈 소스 라이센스 정리라이선스Copyleft소스코드 공개 의무상업적 사용 가능주요 특징GPL v2/v3Strong Copyleft예제한적으로 가능수정 및 배포 시 반드시 동일 라이선스로 배포해야 함. 상용 제품에서는 사용 제약이 있을 수 있음.LGPLWeak Copyleft수정된 라이브러리만 공개예라이브러리를 동적 링크로 사용 시, 상용 제품에서도 소스 공개 의무 없음.MIT없음아니오예매우 자유롭고 간단한 라이선스. 소스 코드 사용에 제한이 거의 없음.Apache 2.0없음아니오예특허권 보호 조항 포함. 수정 및 배포 시 라이선스와 특허 조항 유지 필요.BSD 2-Clause/3-Clause없음아니오예MIT와 유사하며, 3-Clause는 개발자 이름으로 제품 홍보 금지 조항 포함.MPL (Mozi..

Stateful과 Stateless 차이 이해하기
CS 지식/CS기본2024. 3. 2. 22:57Stateful과 Stateless 차이 이해하기

Stateful과 Stateless의 기본적인 개념 Stateful Stateful은 상태유지 즉, 상태를 저장하고 의미합니다.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서버가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상호작용이 이전 상태를 기반으로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더 복잡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장점 1. 사용자 경험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2.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요청마다 모든 정보를 포함 시킬 필요가 없어서 네트워크 효율이 높아집니다. 단점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하고 관리해야하므로 1. 서버의 복잡성과 리소스 요구량이 증가합니다. 2. 서버의 확장성에 제한이 있습니다. Stateless Stateless..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