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Summit Seoul 2025 Review - 1일차여러가지 세션들을 들었는데 이번에는 가볍게 정리를 해보려고합니다.거의 대부분 생성형 AI와 관련된 세션을 들었고 거기서 나오는 질문과 인사이트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1. 쿠팡의 생성형 AIray5273.tistory.com 1일차 글에 이어서 작성합니다.2일차의 경우 대부분 AWS 제품에 대한 홍보가 많았습니다.그래서 제가 원하는 기업들의 아키텍처/기술적인 고민에 대한 부분은 크게 없었습니다.다만, 최근 생성형 AI기술의 개요에 대한 설명 세션이 많았어서 그 부분들을 정리해두려고합니다.2일차에 들은 세션은 포스팅에서 쓸 내용보다는 많았습니다. 다만, 기억 해둬야할 내용들만 서술할 예정입니다. Bedrock + MCP 사용법 및 A2A의 개념먼저..

여러가지 세션들을 들었는데 이번에는 가볍게 정리를 해보려고합니다.거의 대부분 생성형 AI와 관련된 세션을 들었고 거기서 나오는 질문과 인사이트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1. 쿠팡의 생성형 AI 활용을 통한 광고 세션생성형 AI 관리를 위한 내용을 먼저 언급했습니다.프롬프트 관리하는 flow를 정리를 했습니다.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라이프 사이클이 위와 같은데 프롬프트 관리 및 배포하는 툴은 어떤게 있는지 궁금했습니다.프롬프트를 저장하는 위치가 Git인지 아니면 새로운 플랫폼이 나온게 있는지 확인이 필요했습니다. 쿠팡 광고의 High-level architecture는 아래와 같습니다.쿠팡 Ads의 주요 고객은 중소 상공인이라고합니다.그래서 아래와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요.1인 기업의 광고주들이 가진 어려움1..

다시 한번 인프콘 2024 - 세션 후기 1 : 지속 성장 가능한 설계를 만들어 가는 법작년에는 인프콘을 듣고나서 꽤 나중에 블로그 글을 작성했지만 이번에는 잊기 전에 올해 인프콘 후기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올해 들은 첫번째 세션이자 가장 좋았던 세션인 지속 성장 가ray5273.tistory.com 다시 한번 인프콘 2024 - 세션 후기 2 : 실리콘 밸리 개발 문화 및 서바이벌 전략실리콘 밸리 소프트웨어 개발 문화스타트업은 2주에 한번 MVP를 만들고 피드백 받는 과정을 많이한다고 합니다.특정 부서는 오픈소스 기여만 하도록 하게도 한다고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잘ray5273.tistory.com위의 두 세션의 후기에 이어서 마지막 후기입니다.이번엔 개발 뿐 만 아니라 다른 세션들도 들었는데요...

실리콘 밸리 소프트웨어 개발 문화스타트업은 2주에 한번 MVP를 만들고 피드백 받는 과정을 많이한다고 합니다.특정 부서는 오픈소스 기여만 하도록 하게도 한다고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잘 없는 일인것 같습니다.)스타트업은 Accelerator이나 angel 투자자가 2주마다 방문해서 여러 투자들을 엮어주려고도 한다고합니다.거의 매일 공부한다고합니다.또한, (나이가 지긋한) 경험이 많은 개발자들이 많다고 하네요. 실리콘 밸리 서바이벌 전략자기 PR링크드인 기술스택블로그도 미디엄 많이봄컨퍼런스 발표네트워킹협업 능력창의성/문제해결능력기술 트렌드 습득테크 블로그와 뉴스 구독 (TechCrunch, Wired, Bytebytego, Hacker News) 에 대해서도 강조했습니다. 매년 리뷰를 팀에 대한 리뷰를 회..

작년에는 인프콘을 듣고나서 꽤 나중에 블로그 글을 작성했지만 이번에는 잊기 전에 올해 인프콘 후기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올해 들은 첫번째 세션이자 가장 좋았던 세션인 지속 성장 가능한 설계를 만들어 가는 법 세션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발표는 15년차 개발자이신 토스 페이먼츠 김재민님께서 해주셨습니다.(사실 연차를 듣고 나서 부터 기대가 됐습니다.)설계를 잘 하는법설계를 잘하는 방법을 가장 먼저 요약을 해주셨는데바로 설계를 하지 않는 것 이라고합니다. 그래서 세션에서는 설계에 대한 얘기보다는 구현을 강조하셨습니다.그리고 구현을 잘 하기 위해서 개념과 격벽이라는 메인 키워드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념과 격벽개념이란 특정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기능, 역할 또는 객체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아이디어..

이전에 인프콘 2024 참여를 위한 이벤트 글을 아래와 같이 작성했는데요. 다시 한번 인프콘 2024올해도다시 한번 인프콘 행사 참여의 기회를 잡아보고자 SNS 이벤트 글을 씁니다.https://www.inflearn.com/conf/infcon-2024/share?year=2024&id=1227059&hash=ray527321%400b05d93a&name=%EB%B0%95%EC%83%81%ED%98%81 인프콘 2024 - MYray5273.tistory.com 정말 운이 좋게도 이번에도 인프콘에 참여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작년에 이어서 좋은 세션들을 많이 들을 수 있으면 좋겠고이번에는 가능하다면 마음에 드는 세션 발표자 분과 네트워킹을 해보는 것도 해보려고 합니다 ㅎㅎㅎ올해도 좋은 경험이 되었으..

올해도다시 한번 인프콘 행사 참여의 기회를 잡아보고자 SNS 이벤트 글을 씁니다.https://www.inflearn.com/conf/infcon-2024/share?year=2024&id=1227059&hash=ray527321%400b05d93a&name=%EB%B0%95%EC%83%81%ED%98%81 인프콘 2024 - MY페이지친구의 인프콘 MY페이지를 둘러보고 인프콘 참가신청 하세요!www.inflearn.com 작년은인프콘 추첨은 떨어졌었지만 운이 좋게도 기존 운영하고 있던 네이버 블로그에 인프콘 2023 참여 이벤트 글을 작성하고 신청했었는데 당첨이 되어 행사에 참여 할 수 있었습니다. 2023 인프콘 참여#인프콘2023 인프콘 2023 참여 올해도 작년에 이어서 인프콘이 진행된다고 한다...

AI/ML시 생성되 데이터셋 크기 및 단일 파일 용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먼저 언급했습니다.AI/ML 스토리지 트렌드그리고 그런 트렌드에 따라서 AI/ML 워크로드에 대한 스토리지 사용량중 약 80%를 Object Storage가 수용할것으로 예측했습니다. AI/ML을 위한 스토리지 요구사항4가지 정도를 들었는데 실제 스토리지 서버의 요구사항은 성능과 확장성 하나인것 같고 나머지는 그 위에 올라가는스토리지 소프트웨어가 지원 해야 할 기능으로 보였습니다. AI/ML 워크로드를 위한 스토리지의 주요 고려사항크게 3가지의 요소가 있었는데1. 데이터 준비2. 학습3. 추론 (인퍼런스)였습니다. 그 중 이번 세션에서는 학습과 추론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다루었습니다. 학습을 위한 스토리지 이전에 AWS Summit에서..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본 포스트에서는 AWS Seoul Summit 2024의 여러가지 세션들 중 데이터/스토리지와 관련된 세미나를 요약해보려고합니다.제가 들었던 것 들 중에 2가지를 중점적으로 요약했습니다. 1. AWS로 데이터 레이크 구축하기AWS로 데이터 레이크 구축하기 세션이 있었습니다.먼저 데이터 레이크와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정의해보겠습니다. 데이터 레이크 vs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레이크데이터 웨어하우스데이터 형태- 정형, 반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raw data로저장(데이터를 정제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저장)- 데이터를 구조화 된 형태로 저장- 업무 분석 요구에 맞춰 데이터를 정제, 가공하여 저장스키마 요건사전 스키마 설계 관련 요구 조건 없음데이터 저장전에 스키마 설계 필요데이터 신뢰..

이번 AWS Summit Seoul 2024는 주로 AI/ML 그리고 LLM에 대한 내용이 메인을 이루고 있었습니다.그 중에서 Storage와 관련된 세션이 저의 주 관심사였습니다."AWS스토리지로 AI/ML 워크로드 가속화" 라는 세션에 참가했고 AI/ML의 인프라 관점에서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어서 공유드립니다. ML 관점에서 스토리지의 중요 표인트최근에 AI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용어를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많았어서 먼저 각 용어에 대해서 먼저 정의를 했다고합니다. 그 중 ML을 어떻게 구축하는지를 아래의 장표에서 정리를해주었습니다.핵심은 1. Build : ML 모델을 개발한다.2. Train & Tune : 개발한 모델을 학습시키고 튜닝한다.라는 과정을 거친다는것입니다. Amazon 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