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시 한번 인프콘 2024 - 세션 후기 1 : 지속 성장 가능한 설계를 만들어 가는 법작년에는 인프콘을 듣고나서 꽤 나중에 블로그 글을 작성했지만 이번에는 잊기 전에 올해 인프콘 후기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올해 들은 첫번째 세션이자 가장 좋았던 세션인 지속 성장 가ray5273.tistory.com 다시 한번 인프콘 2024 - 세션 후기 2 : 실리콘 밸리 개발 문화 및 서바이벌 전략실리콘 밸리 소프트웨어 개발 문화스타트업은 2주에 한번 MVP를 만들고 피드백 받는 과정을 많이한다고 합니다.특정 부서는 오픈소스 기여만 하도록 하게도 한다고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잘ray5273.tistory.com위의 두 세션의 후기에 이어서 마지막 후기입니다.이번엔 개발 뿐 만 아니라 다른 세션들도 들었는데요...

실리콘 밸리 소프트웨어 개발 문화스타트업은 2주에 한번 MVP를 만들고 피드백 받는 과정을 많이한다고 합니다.특정 부서는 오픈소스 기여만 하도록 하게도 한다고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잘 없는 일인것 같습니다.)스타트업은 Accelerator이나 angel 투자자가 2주마다 방문해서 여러 투자들을 엮어주려고도 한다고합니다.거의 매일 공부한다고합니다.또한, (나이가 지긋한) 경험이 많은 개발자들이 많다고 하네요. 실리콘 밸리 서바이벌 전략자기 PR링크드인 기술스택블로그도 미디엄 많이봄컨퍼런스 발표네트워킹협업 능력창의성/문제해결능력기술 트렌드 습득테크 블로그와 뉴스 구독 (TechCrunch, Wired, Bytebytego, Hacker News) 에 대해서도 강조했습니다. 매년 리뷰를 팀에 대한 리뷰를 회..

작년에는 인프콘을 듣고나서 꽤 나중에 블로그 글을 작성했지만 이번에는 잊기 전에 올해 인프콘 후기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올해 들은 첫번째 세션이자 가장 좋았던 세션인 지속 성장 가능한 설계를 만들어 가는 법 세션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발표는 15년차 개발자이신 토스 페이먼츠 김재민님께서 해주셨습니다.(사실 연차를 듣고 나서 부터 기대가 됐습니다.)설계를 잘 하는법설계를 잘하는 방법을 가장 먼저 요약을 해주셨는데바로 설계를 하지 않는 것 이라고합니다. 그래서 세션에서는 설계에 대한 얘기보다는 구현을 강조하셨습니다.그리고 구현을 잘 하기 위해서 개념과 격벽이라는 메인 키워드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념과 격벽개념이란 특정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기능, 역할 또는 객체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아이디어..

이전에 인프콘 2024 참여를 위한 이벤트 글을 아래와 같이 작성했는데요. 다시 한번 인프콘 2024올해도다시 한번 인프콘 행사 참여의 기회를 잡아보고자 SNS 이벤트 글을 씁니다.https://www.inflearn.com/conf/infcon-2024/share?year=2024&id=1227059&hash=ray527321%400b05d93a&name=%EB%B0%95%EC%83%81%ED%98%81 인프콘 2024 - MYray5273.tistory.com 정말 운이 좋게도 이번에도 인프콘에 참여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작년에 이어서 좋은 세션들을 많이 들을 수 있으면 좋겠고이번에는 가능하다면 마음에 드는 세션 발표자 분과 네트워킹을 해보는 것도 해보려고 합니다 ㅎㅎㅎ올해도 좋은 경험이 되었으..

올해도다시 한번 인프콘 행사 참여의 기회를 잡아보고자 SNS 이벤트 글을 씁니다.https://www.inflearn.com/conf/infcon-2024/share?year=2024&id=1227059&hash=ray527321%400b05d93a&name=%EB%B0%95%EC%83%81%ED%98%81 인프콘 2024 - MY페이지친구의 인프콘 MY페이지를 둘러보고 인프콘 참가신청 하세요!www.inflearn.com 작년은인프콘 추첨은 떨어졌었지만 운이 좋게도 기존 운영하고 있던 네이버 블로그에 인프콘 2023 참여 이벤트 글을 작성하고 신청했었는데 당첨이 되어 행사에 참여 할 수 있었습니다. 2023 인프콘 참여#인프콘2023 인프콘 2023 참여 올해도 작년에 이어서 인프콘이 진행된다고 한다...

AI/ML시 생성되 데이터셋 크기 및 단일 파일 용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먼저 언급했습니다.AI/ML 스토리지 트렌드그리고 그런 트렌드에 따라서 AI/ML 워크로드에 대한 스토리지 사용량중 약 80%를 Object Storage가 수용할것으로 예측했습니다. AI/ML을 위한 스토리지 요구사항4가지 정도를 들었는데 실제 스토리지 서버의 요구사항은 성능과 확장성 하나인것 같고 나머지는 그 위에 올라가는스토리지 소프트웨어가 지원 해야 할 기능으로 보였습니다. AI/ML 워크로드를 위한 스토리지의 주요 고려사항크게 3가지의 요소가 있었는데1. 데이터 준비2. 학습3. 추론 (인퍼런스)였습니다. 그 중 이번 세션에서는 학습과 추론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다루었습니다. 학습을 위한 스토리지 이전에 AWS Summit에서..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본 포스트에서는 AWS Seoul Summit 2024의 여러가지 세션들 중 데이터/스토리지와 관련된 세미나를 요약해보려고합니다.제가 들었던 것 들 중에 2가지를 중점적으로 요약했습니다. 1. AWS로 데이터 레이크 구축하기AWS로 데이터 레이크 구축하기 세션이 있었습니다.먼저 데이터 레이크와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정의해보겠습니다. 데이터 레이크 vs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레이크데이터 웨어하우스데이터 형태- 정형, 반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raw data로저장(데이터를 정제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저장)- 데이터를 구조화 된 형태로 저장- 업무 분석 요구에 맞춰 데이터를 정제, 가공하여 저장스키마 요건사전 스키마 설계 관련 요구 조건 없음데이터 저장전에 스키마 설계 필요데이터 신뢰..

이번 AWS Summit Seoul 2024는 주로 AI/ML 그리고 LLM에 대한 내용이 메인을 이루고 있었습니다.그 중에서 Storage와 관련된 세션이 저의 주 관심사였습니다."AWS스토리지로 AI/ML 워크로드 가속화" 라는 세션에 참가했고 AI/ML의 인프라 관점에서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어서 공유드립니다. ML 관점에서 스토리지의 중요 표인트최근에 AI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용어를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많았어서 먼저 각 용어에 대해서 먼저 정의를 했다고합니다. 그 중 ML을 어떻게 구축하는지를 아래의 장표에서 정리를해주었습니다.핵심은 1. Build : ML 모델을 개발한다.2. Train & Tune : 개발한 모델을 학습시키고 튜닝한다.라는 과정을 거친다는것입니다. Amazon Sa..

인프콘 세션 마지막 후기입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영상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니어 개발자 너머의 성장: 대규모 조직을 위한 스태프 엔지니어(Staff Engineer) - 남상수님 우리는 어떻게 성장할까요? 그것에 대한 정리가 먼저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성장하는지에 대한 자료가 있었습니다. 70%의 업무경험, 20%의 관계, 10%의 교육으로 주로 성장한다고 합니다. 업무 경험을 통해서 가장 많이 성장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개발자는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까요? 1. 처음에는 혼자힘으로 기능을 개발하거나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2. 비슷한 기능/ 프로젝트를 여러번 하면서 더 견고해집니다. 다만, 그 이후에는 성장 곡선이 조금 더뎌진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개인으로써의 성장..

인프콘 후기 정리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두 번째 포스트입니다. 늦었지만 써보는 2023 인프콘 후기 정리 - 1. API First Design 2023 인프콘 참여 #인프콘2023 인프콘 2023 참여 올해도 작년에 이어서 인프콘이 진행된다고 한다. 작년까지는 회사에 입사한... blog.naver.com 운이 좋게도 작년 블로그 이벤트에서 당첨된 인프콘 티켓 ray5273.tistory.com 빠르게 핵심 내용으로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 아래 링크에서 동영상도 볼 수 있습니다. 절반의 성공, 조직 구조와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도입 - 서주은님 처음에는 사내에 아래와 같이 각 역할에 따라 팀을 나누었었는데 처음에는 모든 회사들에서 그렇듯 펑션 조직을 생각했다고 합니다. 조직 구조의 변화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