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rust 책을 샀으니 보면서 rust가 어떻게 실행 되는 지 기본 정도는 확인하고 넘어가보려고한다.
1. 윈도우에 rustup 설치하기
Install Rust - Rust Programming Language (rust-lang.org)
여기서 rust 설치파일을 받고 설치하면 간단하게 끝! ㅎㅎ
윈도우는 설치가 쉬워서 좋은것 같다.
설치가 완료되면 cmd 에서
$ rustc --version
으로 설치가 됐는지 확인하면 된다.
설치가 잘 됐다 ㅎㅎ
2. Hello world! 컴파일 해보기
언어 배울땐 역시나 처음엔 hello world 부터 출력 해 보는게 국룰이다.
아무데서나 main.rs 파일을 생성하고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해보자.
fn main(){
println!("hello, world!");
}
그리고 다음과 같이 컴파일 하고 실행할 수 있다.
$ rustc main.rs
$ ./main.exe
Hello, world!
Rust 유의점
- 탭이 아니라 공백 4칸이 들여쓰기다
- println! 는 그냥 함수가 아니라 러스트 매크로 라고 부르고 매크로를 호출한다고 한다.
C/C++ 짜본 입장에서는 이정도 유의점만 알고 넘어가면 될듯
1) 카고(Cargo)란 무엇인가
- 카고란 러스트의 빌드 시스템이자 패키지 관리자다.
- 코드의 빌드, 코드가 의존하는 라이브러리의 다운로드, 그리고 이런 라이브러리의 빌드 등의 작업을 대신해준다.
- rust를 설치하면 Cargo도 이미 설치되어있다!
3. 카고를 이용해 프로젝트 생성하기
$ cargo new hello_cargo
이러면 hello_cargo 폴더 생성해주고 그 안에 git 저장소랑 Cargo.toml 파일을 생성해준다.
Cargo.toml 파일은 카고의 설정 파일 형식이라고한다.
대략 이렇게 생겼다.
[package]
name = "hello_cargo"
version = "0.1.0"
edition = "2021"
# See more keys and their definitions at https://doc.rust-lang.org/cargo/reference/manifest.html
[dependencies]
4. 카고를 이용해 빌드 및 실행
빌드
$ cargo build
빌드하면 target/debug/hello_cargo로 실행파일을 생성해준다.
$ cargo run
실행도 잘 해준다.
cargo check
cargo check이란게 있다. 빌드하지 않고 컴파일이 잘 되는지 확인해줌
- 코드짤때 많이 쓸듯! 이런 기능은 모던 language의 장점인듯하다 ㅎㅎ
$ cargo check
릴리즈 빌드
릴리즈를 위한 빌드는 다음 명령어로 실행한다.
최적화까지해주는게 포인트인듯!
$ cargo build --release
'백엔드 > Ru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ust with Flutter Tutorial (4) | 2023.11.21 |
---|---|
Rust 걸음마 떼기 (5) - Rust의 구조체 (2) | 2023.11.21 |
Rust 걸음마 떼기 (4) - 소유권 (러스트의 메모리 관리) (2) | 2023.11.21 |
Rust 걸음마 떼기 (3) - 일반 프로그래밍 개념을 rust에서는 어떻게 다루는가 (1) | 2023.11.21 |
Rust 걸음마 떼기 (2) - 변수 선언, 입력, 비교 (2) | 2023.11.21 |
개발 및 IT 관련 포스팅을 작성 하는 블로그입니다.
IT 기술 및 개인 개발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블로그입니다. 많은 분들과 소통하며 의견을 나누고 싶습니다.